중국 배터리 시장에 집중! 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ETF 제대로 알아보기

0
{focus_keyword} 중국 배터리 시장에 집중! 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ETF 제대로 알아보기  삼성_블_도비라_960x960-5                       5

2021년 증시의 ‘뜨거운 감자’는 단연 전기차 업종이었습니다. 전기차를 이루는 핵심 부품 중 하나가 바로 2차전지인데요. 전기차가 인기를 끌면서 2차전지 관련주도 지난 한 해 동안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2차전지는 전기차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기, ESS(에너지 저장장치) 등 다양한 에너지 산업의 핵심 동력원인데요. 해당 분야의 세계적 강국으로 꼽히는 중국 2차전지 산업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최근 새롭게 열렸습니다.

{focus_keyword} 중국 배터리 시장에 집중! 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ETF 제대로 알아보기  삼성_blog_01-3        blog 01 3

| 전기차 배터리 한·중·일 삼국지, 1위 나라는?

2차전지는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했다가 필요한 때에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합니다. 모바일·IT 기기에 주로 사용되던 2차전지는 최근 전기차의 등장으로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2차전지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투자와 가장 빠른 기술 혁신이 이루어지는 분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규모는 2020년 330억 달러를 넘어섰는데요(전년 대비 약 57% 증가). 중국, 유럽, 미국 등 주요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에 힘입어 2023년까지 약 800억 달러 이상의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블룸버그의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생산 능력은 2020년 563GWh에서 2030년 2,262GWh로 4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권역별 생산 비중을 예측해 본다면, 1위는 중국(59%), 2위는 유럽(31%), 3위는 미국(6%) 순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투자, 어느 나라 시장을 주목해야 할지 감이 오시나요?

{focus_keyword} 중국 배터리 시장에 집중! 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ETF 제대로 알아보기  삼성_blog_02-3        blog 02 3

전망을 살펴보았으니 현재 상황을 들여다볼까요? 현재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상황은 ‘한·중·일 삼국지’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주식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배터리 관련 국내 기업들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국내 기업들도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강자들이지만, 이 분야에서 특히 두각을 나타내는 나라는 중국입니다.

2차전지 산업에 대한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인 SNE 리서치에 의하면, 중국의 배터리 제조사 닝더스다이(CATL)가 중국 내수 시장에서의 강세를 힘입어 4년 연속 글로벌 배터리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습니다(2020년 기준). 2021년 기준으로 배터리 시장의 국가별 점유율은 중국이 49%, 한국이 30%, 일본이 12%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점유율 1위 기업은 CATL(33%)이 차지했습니다.

{focus_keyword} 중국 배터리 시장에 집중! 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ETF 제대로 알아보기  삼성_blog_03-3        blog 03 3

| 중국의 2차전지 산업이 세계 1위로 성장한 이유

그렇다면 중국의 배터리 산업이 빠르게 성장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중국 정부가 의도적으로 지원과 특혜를 통해 배터리 분야를 육성했기 때문입니다. 중국 정부는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주는 방식으로 자국 업체들을 지원했는데요. 이러한 보조금 정책으로 내수 시장을 통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많은 혜택을 본 기업이 CATL이죠. 글로벌 1위 기업인 CATL은 중국 내 점유율이 무려 52.1%(2022년 1월 기준)입니다.

CATL은 자국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와 높은 글로벌 점유율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경쟁력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기술력을 끌어올리는 한편, 자금력을 바탕으로 배터리 소재 관련 기업들도 다수 인수·합병해 수직계열화를 달성하고 영업이익률을 높였죠.

투자자들에게 중국의 2차전지 시장이 매력적인 이유는 높은 성장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2020년 ‘신에너지 자동차 로드맵 2.0’을 발표하며 2025년까지 전기차 판매량을 전체의 50%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중국의 전기차 시장이 커질수록 2차전지 배터리 수요 역시 자연스럽게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focus_keyword} 중국 배터리 시장에 집중! 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ETF 제대로 알아보기  삼성_blog_04-2        blog 04 2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대한 수요 증가도 중국 2차전지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입니다. 전기차에 사용되는 2차전지는 크게 삼원계 배터리와 LFP 배터리로 나뉘는데요. 중국은 상대적으로 기술 접근이 쉬운 LFP 배터리에 집중한 결과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LFP 배터리는 중국 전기차에만 사용될 정도로 비주류였지만, 최근 테슬라를 비롯해 다수의 전기차 기업이 채용하면서 LFP 배터리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이로 인해 중국 2차전지 기업들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focus_keyword} 중국 배터리 시장에 집중! 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ETF 제대로 알아보기  삼성_blog_05-2        blog 05 2

| 높은 성장세 기대되는 중국 2차전지 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이처럼 투자자 입장에서 볼 때 중국 2차전지 시장은 빠르게 덩치를 불리고 있는, 매력적인 투자처인데요. 하지만 그동안 개인투자자들에게 중국 2차전지 시장은 ‘그림의 떡’에 가까웠습니다. 중국 주식시장의 다소 특이한 구조 때문에 직접투자가 어려웠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CATL은 중국의 창업판(촹예판)이라는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데, 이곳의 주식은 중국인이나 허가를 받은 외국인만 투자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것이 ETF입니다. 중국 2차전지 관련주를 많이 담은 ETF를 산다면 직접 투자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가 있겠죠. 신규 상장된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합성) ETF는 중국 2차전지 산업에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인데요. 모건스탠리인터내셔널(MSCI)과의 지수 개발을 통해 중국 2차전지 관련 대표기업 20종목을 추출한 지수를 추종합니다.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합성) ETF의 가장 큰 특징은 개인 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중국 본토 대표 종목들의 비중이 높다는 점입니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1위 시장인 중국에서도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는 CATL, BYD, Eve Energy 등 핵심기업들로 구성된 만큼 중국 2차전지 대형주에 본격적으로 투자하길 원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또 국내 차이나 2차전지·전기차 관련 ETF 중 보수(총 보수 연 0.25%)가 가장 낮은 상품이죠. (2022년 3월 금융투자협회 공시 기준)

2차전지는 전기차 밸류체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 시장 성장과 함께 배터리 수요도 급격히 늘어나면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인데요. 전기차 시장이 성장할수록 2차전지 산업 역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별 주식은 잘 모르겠지만 성장하는 중국 2차전지 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합성) ETF로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focus_keyword} 중국 배터리 시장에 집중! 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ETF 제대로 알아보기  삼성_blog_06        blog 06

삼성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2-136호(2022.03.25~2023.03.24)

{focus_keyword} 중국 배터리 시장에 집중! 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ETF 제대로 알아보기  삼성자산운용_블썸네일_351x185-7                                  7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