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월 주식시장은 어땠나요?
2022년 2월 코스피는 1.3% 상승했습니다. 오미크론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리오프닝 관련 업종이 강세를 보였는데요. 인플레이션 민감 업종 또한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성장주는 가치주 대비 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과 통화정책 그리고 전쟁 우려로 인한 주식의 요구 수익률이 높아진 탓인데요. 이러한 환경이 성장주에 불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 3월 주식시장의 주요 이슈는 무엇인가요?
여전히 가장 중요한 이슈는 인플레이션과 긴축 통화정책에 대한 우려입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핵심 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는 각각 7.5%, 6.0% 수준인데요. 상품뿐 아니라 서비스에 걸쳐 전반적으로 가파르게 인플레이션이 확산 중입니다.
최근 미시건 소비자 심리지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단기에 급격한 인플레이션 기대치의 상승은 소비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이와 더불어 지정학적 리스크가 가중되면서 통화정책 변화에 대한 속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횟수는 점차 하향 조정되고 있는 양상입니다.
| 앞으로의 시장 전망과 투자 전략이 궁금해요.
우선 신흥국의 선별적 투자입니다. 이념에 따른 신냉전 가능성과 글로벌 경제 재제로 러시아와 중국 증시가 지속적으로 부진할 가능성이 있는데요. 반면,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반사 이익을 얻는 지역도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상품의 가격 강세에도 불구하고 신흥국의 신용스프레드(국고채와 회사채 간 금리 차이)는 확대되고 있는데요. 이는 곧 투자의 기회로 이어져 시장의 반등이 예상되는 만큼, 하락 국면에서 낙폭이 심했던 업종에 관심을 가져보는 게 좋겠습니다.
다음은 인프라와 인플레이션 민감 업종입니다. 현재 글로벌 공급망 교란으로 인프라 투자 수요가 상승 중인데요. 과거 투자 수요 확대 국면이나 인플레이션 상승 국면에서 글로벌 인프라의 성과는 주식 성과 대비 오히려 양호했습니다. 최근 인프라 수익률이 개선되고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아직 초기 상황으로 보이나, 관련 업종을 주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